전체 글86 [ BOJ 오답노트 ] 15649 파이썬 : N과 M (1) 2022 02 24 1. 틀린 기록 2. 원인 분석 - 일단 어떻게 풀지를 모르겠어서.. 틀렸다. 백트래킹 알고리즘 관련된 문제라는데 백트래킹은 아직 접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하하하 - 그래서 이번 기회로 백트래킹 알고리즘을 배워보고, 정리도 해두었다. https://chunshikkong.tistory.com/36 [ 알고리즘 ] 7. 백트래킹 알고리즘 1. 백트래킹 알고리즘 - 현재 상태에서 가능한 모든 후보군을 따라 들어가며 탐색하는 알고리즘 - 해를 찾아가는 도중에 해가 안될 것 같으면 돌아간다. ⓐ 유망하다 (Promising) : 해가 될 가능성이 chunshikkong.tistory.com - 백트래킹은 dfs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깊이 탐색을 잘 이용해서 풀면 되는 문제였다. - 값들을.. 2022. 2. 24. [ 네트워크 ] 3. 2계층 통신 : MAC 주소, Ethernet 프로토콜 1. 2계층 통신 - 가까이 있는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음 -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 MAC 주소 - 2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Ethernet 프로토콜 2. 2계층에서 하는 일 -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 같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어떤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 - 추가적으로 오류제어, 흐름제어 수행 -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한다.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에는 항상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 - 3계층의 주소와 3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야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 3.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1) MAC 주소 -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물리적인 주소 .. 2022. 2. 23. [ 네트워크 ] 네트워크 계층 모델 : OSI 7계층, TCP/IP, 패킷 1. 네트워크 계층 모델 (1) OSI 7계층 -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데이터 자체의 흐름을 각 구간 별로 나눠 놓은 것 - 용도 자체가 교육용이자 참고용이라는 것을 알아두자. (2) TCP / IP 모델 -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모델 - 네트워크 패킷들을 살펴 보면, OSI 7계틍 보다는 TCP/IP 모델에 더 잘 맞는 것을 알 수 있다. (3) 두 모델 비교 - 공통점 ⓐ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 ⓑ 계층 간 역할 정의 - 차이점 ⓐ 계층의 수 차이 ⓑ OSI는 역할 기반, TCP/IP는 프로토콜 기반 ⓒ OSI는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 ⓓ TCP/IP는 데이터 전송 기술 특화 OSI → 논리적 TCP/IP → 실무적 2. OSI 7계층 (1) 7계층 : Application (응용) - 사용자에.. 2022. 2. 21. [ BOJ 오답노트 ] 2108 파이썬 : 통계학 2022 02 19 1. 틀린 기록 2. 원인 분석 - 시간 초과 판정이 났다. 한 2%까지 채점되다가 시간초과가 딱 떠버린게 네번이다. ㅎㅎ - 문제 풀이 중에서 최빈값 (가장 많이 나온 값)을 찾는 부분에서 'count' 함수를 사용한 것이 시간초과의 원인이었다. - count 함수는 O(N)의 복잡도를 가지지만, 내가 짠 코드에서는 while 문 안에서 계속 선형 탐색하면서 연산하기 때문에 O(N^2)까지 연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그래도 내 나름대로 i += count를 해주어서 그 다음 값이 현재 값과 같다면 굳이 확인하지 않아도 되게 설계했지만, 어차피 count 함수는 연산 중에 인덱스 0부터 끝까지 연산하기 때문에 의미가 없었던 것이다. 3. 해결 import sys input =.. 2022. 2. 19.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