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2계층 통신
- 가까이 있는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음
-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 MAC 주소
- 2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Ethernet 프로토콜
2. 2계층에서 하는 일
-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 같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어떤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
- 추가적으로 오류제어, 흐름제어 수행

-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한다.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에는 항상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
- 3계층의 주소와 3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야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
3.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1) MAC 주소
-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물리적인 주소
- 16진수로 나타낸다. (16진수 2개 * 6세트 = 12개)
ex. 6C-29-95-04-EB-A1
ex. 6C:29:95:04:EB:A1
(2) MAC 주소 확인하기
ⓐ cmd 관리자 권한 실행 > ipconfig /all > 이더넷 어댑터 > 물리적 주소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기본 네트워크 정보 보기 및 연결 설정

나는 스터디카페에서 WIFI를 사용하고 있어서 아래와 같이 나오지만, 대부분 'Ethernet'으로 뜰 것이다.

클릭해주고, 자세히 버튼을 눌러준다.


(3) MAC 주소 해석하기

① OUI
- 앞자리 6 byte
- IEEE에서 부여하는 일종의 제조회사 식별 ID
ex. 삼성에서 만들었다면 삼성을 나타내는 ID 6자리로 표시했을 것임
OUI Lookup - MAC Address and OUI Lookup
ouilookup.com
MAC OUI를 검색해보는 사이트이다.

② 고유번호
- 뒷자리 6 byte
- 제조사에서 부여한 고유번호
실제로 MAC 주소는 모든 기기들이 고유의 번호 값을 가지고 있으며, 쉽게 바꿀 수 없다.
4. 2계층 프로토콜
- Ethernet 프로토콜
(1) Ethernet 프로토콜의 구조

- Destination address (6byte) + Source Address (6byte) + Ethernet Type (2byte)
① Destination address : 도착지에 대한 MAC 주소
② Source address : 출발지에 대한 MAC 주소
ex. AA:AA:AA:AA:AA:AA에서 출발하고 BB:BB:BB:BB:BB:BB로 도착할때의 모습

③ Ethernet Type
- data의 페이로드 안에 상위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해두어서 미리 알려주는 역할
- 전기적 신호 (01011110…)로 데이터가 전달되고 있는 와중에, 받는 쪽에서 처음에 이더넷 프로토콜을 분석한다.
- 데이터 (페이로드)가 IP인지, ARP인지 분석한다.
- Ethernet만 그런 것이 아니라, 다른 프로토콜들도 마찬가지로 상위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 이더넷 프로토콜의 상위 프로토콜로 올 수 있는 것으로 IPv4, ARP가 있다.
- IPv4가 온다면, Ethernet type은 0800
- ARP가 온다면, Ethernet type은 0806
(2) 실습
: 같은 네트워크 상의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진행
결과 : Ethernet Protocol (14byte로 구성)
E8 03 9A 68 C0 23 : 목적지 (6byte)
E8 11 32 33 01 C9 : 출발지 (6byte)
08 00 : IPv4 (Ethernet Type) (2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