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CS 전공 ]

[ 네트워크 ] Internet, ISP, Server, Client

by 불주먹고양이 2022. 2. 15.

1. 네트워크 (Network)

 

: 기기 (device)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방식

 

- 컴퓨터 간의 파일 공유

- 전자 메일 등의 커뮤니케이션 지원

 

 

 

2. 네트워크의 분류

(1) 누가 이용할 수 있는지에 따라서

- 공용 네트워크 (일반적 이용)

ex. 구글, 네이버

 

- 사설 네트워크 (제한적 이용) 

ex. 사내 네트워크, 인트라넷, 스타크래프트

 

 

(2) 네트워크의 구성 방식에 따라서

- LAN (Local Area Network)

 

ⓐ 조직 내부나 동일 건물 등 비교적 좁은 지역을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고, 유지비용은 적게 든다.

ⓒ 관리자가 직접 관리하는 방식

ⓓ 스위치와 허브로 연결된다.

 

 

- WAN (Wide Area Network)

 

ⓐ 물리적으로 넓은 범위를 연결한 광역 네트워크

ⓑ 초기 설치 비용은 적게 들지만,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

ⓒ LAN과 LAN을 연결한다.

ⓓ 라우터로 연결된다.

ⓔ SK broadband나 KT와 같은 서비스 업체로부터 임대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 WAN을 만드는 방법

① LAN을 연결할 것

② WAN을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와 계약을 할 것

ex. SK, KT, LG U+

 

 

(3) 네트워크의 연결 형태에 따라서

- Star 형

: 중앙 장비에 모든 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Hub와 같은 중앙 장비가 있어서 서로 다른 기기들을 연결해준다.

가정에서 쓰는 공유기에 핸드폰, 노트북, 데스크탑 등을 연결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하지만, 중앙 장비가 고장났을 경우, 연결된 모든 기기들에서 통신 오류가 날 수 있다는 점이 단점이다.

 

 

- Mesh 형

: 여러 노드들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서로서로 모두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한 기기에서 네트워크 오류가 나더라도 다른 장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인터넷 (Internet = Inter + network)

: 전세계의 다양한 조직이 관리하는 네트워크가 연결 (통합) 된 것

 

- 위의 정의에서의 '다양한 조직'은 AS를 갖추고 있다.

 

- AS (Autonomous System - 자율적 시스템)

ⓐ 동일한 라우팅 정책으로 하나의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로 한 회사나 단체에서 관리하는 라우터 집단을 말한다.

ⓑ 이러한 각각의 자율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인터넷 상의 고유한 숫자를 망식별번호 (AS번호)라고 한다.

ⓒ 네트워크의 크기가 커지면서 하나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전체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없게 되었다. 그에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 범위를 계층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도입된 시스템이다.

 

- AS를 공급하는 업체를 ISP라고 한다.

 

-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ex. SKT, NTT, Google, Amazonⓑ 인터넷 상의 모든 ISP는 Tier1을 경유해서 연결된다.

남미와 아시아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Tier1을 경유해야만 한다.

 

Tier1 아래에는 Tier2가 존재하고, 그 아래에는 여러 local ISP가 존재한다.

 

참고로, Tier1에는 미국의 AT&T, 일본의 NTT 등이 있으며, Tier2에는 우리나라의 KT, SK broadband가 있다.

 

 

 

4. 주고 받는 관계

- 무엇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까?

: 데이터를 주고 받는 주체는 주로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서버)

 

(1) server와 client

: 대부분의 네트워크 관계이다.

 

(2) client와 client (P2P 방식)

- P2P 방식의 장점 : server를 거쳐서 통신하다보면 어쩔 수 없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 P2P 방식의 종류

① 하이브리드 P2P

: 기존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은 방식이다. 중앙 서버가 중개와 검색을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이 이뤄진다.

 

- 장점 : 검색이 빠르다.

- 단점 : 네트워크가 커질 수록 중앙 서버에 부담이 생기며, 중앙서버가 죽으면 전체 네트워크가 죽는다.

ex. 냅스터, 소리바다 (파일 공유) / 네이트온 (메신저를 통한 파일 전송)

 

 

② 퓨어 P2P

: 모든 컴퓨터는 서버-클라이언트 역할을 겸한다는 점에 의거하여, 검색과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동일한 수준의 책임을 지는 방식이다.

 

- 장점 : 네트워크가 죽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가 증가함에 따른 비용이 0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단점 : 중앙 서버의 부재로 네트워크 제어 수단이 없다. 또한 파일 목록을 검색할 때마다 모든 네트워크와 컴퓨터를 검색해야 한다. 이로 인한 속도가 느리며 과부하와 해킹 위험이 있다.

ex. 그누텔라, 프리넷

 

 

③ 슈퍼 피어 방식

: ①의 장점과 ②의 장점을 합친 방식이다. 중앙 서버 역할을 하는 슈퍼 피어를 여러개 두어서 네트워크를 제어한다.

 

- 장점 : 중앙서버가 존재하므로 검색 속도가 빠르다. 하나의 중앙 서버가 죽더라도 다른 중앙 서버로 대체 가능하다.

- 단점 : 슈퍼 피어 구현 자체가 어렵다. 아직 슈퍼피어에 대한 최적화된 이론이 정립되지 않아서 구현 방식에 따른 천차만별의 성능이 존재한다.

 

 

 

5. 프로토콜

: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 미리 정해놓은 약속

OSI (OSI 7계층), 분산 컴퓨팅, TCP/IP (OSI 4계층), Novell IPX/SPX, Apple AppleTalk

 

- 초기에는 위처럼 각 회사들이 제안한 여러 프로토콜이 존재했지만, 현재에는 TCP/IP 프로토콜로 표준화되었다.

 

- 프로토콜의 종류

ⓐ 가까운 곳과 통신할 때 : Ethernet (이더넷) 프로토콜. MAC 주소로 통신

ⓑ 먼 곳과 통신할 때 : ICMP, IPv4, ARP. IP 주소로 통신

ⓒ 여러가지 프로그램으로 연락할 때 : TCP, UDP. 포트 번호로 통신

 

- 여러 개의 프로토콜을 같이 쓴다.

- 캡슐화 (Capsulation) : 여러 프로토콜들로 캡슐화 한 패킷

 

 

 

6. 서버

- 서버는 항상 ON 상태여야 한다. client가 언제든지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 서버의 세팅 위치에 따른 종류

① 온프레미스 (기존 방식)

: 서버를 회사 내에 두고 사용한다. 따라서 정전이나 기계 고장에 의한 서버 접근 금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② 클라우드

: 큰 기업체 (ex. AWS, Google)에서 서버를 관리해주는 시스템

 

 

참고 :https://spider-web.tistory.com/1https://youtu.be/EDYffEGf0_I